@ddukbbok_kang

하고 싶은 건 일단 해봅니다.

Python/데이터 전처리 6

데이터프레임 연산(판다스/Pandas)

판다스 객체의 산술연산 STEP 1. 행/열 인덱스를 기준으로 모든 원소를 정렬 STEP 2. 동일한 위치에 있는 원소끼리 일대일로 대응 STEP 3. 일대일 대응이 되는 원소끼리 연산을 처리(단 대응되는 원소가 없으면 NaN으로 처리) 데이터프레임 vs 숫자 titanic = sns.load_dataset('titanic') df = titanic.loc[:, ['age', 'fare']] print(df.head()) # 첫 5행만 표시 print('\n') print(type(df)) print('\n') # 데이터프레임에 숫자 10 더하기 addition = df + 10 print(addition.head()) # 첫 5행만 표시 print('\n') print(type(addition)) Da..

데이터프레임 합치기(판다스/Pandas)

3가지 방법 #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df1 = pd.DataFrame({'a' : ['a0', 'a1', 'a2'], 'b' : ['b0', 'b1', 'b2'], 'c' : ['c0', 'c1', 'c2']}, index = [0,1,2]) df2 = pd.DataFrame({'a' : ['a0', 'a1', 'a2'], 'b' : ['b0', 'b1', 'b2'], 'c' : ['c0', 'c1', 'c2'], 'd' : ['d0', 'd1', 'd2']}, index = [1,2,3]) print(df1) print('\n') print(df2) 1) 연결(concat) result1 = pd.concat([df1, df2]) result1 데이터프레임을 행 방향으로 위 아래로 연결 축 방향을 지정..

데이터프레임 살펴보기 및 필터링(판다스/Pandas)

데이터 살펴보기(head(), tail()) import pandas as pd # read_csv() 함수로 df 생성 df = pd.read_csv('./auto-mpg.csv', header = None) # df의 모양과 크기 확인 : (행의 개수, 열의 개수)를 투플로 반환 print(df.shape) 데이터프레임의 크기 확인 : DataFrame 객체.shape ⇒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투플로 반환 # 데이터프레임 df의 내용 확인 print(df.info()) 데이터프레임의 기본 정보 출력 : DataFrame 객체.info() 첫 행에 df의 클래스 유형 행 인덱스와 열에 대한 정보 각 열의 이름과 데이터 개수, 자료형 자료형과 메모리 사용량 표시 ** 참고 : 판다스 자료형(data ..

데이터프레임 핸들링(판다스/Pandas)

데이터프레임(행 인덱스/열 이름 설정) # 데이터프레임(행 인덱스/열 이름 설정) # 행 인덱스/열 이름을 지정하여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df = pd.DataFrame([[15, '남', '덕영중'], [17, '여', '수리중']], index = ['준서', '예은'], columns = ['나이', '성별', '학교']) #행 인덱스, 열 이름 확인하기 print(df) print('\n') print(df.index) print('\n') print(df.columns) pd.DataFrame(2차원 배열, index = 행 인덱스 배열, columns = 열 이름 배열) 실행 결과 리스트가 행으로 변환 행 인덱스 접근 ⇒ df.index 열 인덱스 접근 ⇒ df.columns # 행 인덱스, 열..

파이썬 기초 - for문, while문

반목문이란? & 반복문이 필요한 이유 코드를 붙여 넣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프로그래밍 측면에서 비효율적임 반복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반복문의 기능을 제공 반목적인 작업을 처리하는 도구 코드 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문 중 하나 for와 range의 동작 과정 즉, for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주로 사용한다. for i in range(10): print("Hello, bitamin!", i) print("반복문 끝!") for i in range(10): print(i) i = 10 다양한 for문의 사용 1) range 증가 폭 사용하기 for i in range(10,0,-1): print(i) for i in range(0, 30, 3): print(i) 2) list 원소 순회하기..

파이썬 기초 - 조건문

조건문이란? 참과 거짓을 '판단'하는 문장 조건이 참일 때 다음 문장을 수행 ex)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in / not in 등 조건문이 필요한 이유 "비타민에 합격하면 행복하고, 떨어지면 슬프다." 주어진 조건을 판단 → 해당 주건에 맞게 상황 수행 bitamin = True if bitamin: print("행복하다") else: print("슬프다") 행복하다 bitamin에 True를 입력했으므로 bitamin은 참 따라서 조건문이 수행되어 '행복하다'가 출력된다 if문의 기본 구조 if 조건문: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else: 수행할 문장A 수행할 문장B ... if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주로 사용한다 들여쓰기(Intent) 가독성을 위한 것 영역을 지정한다는 뜻 문법..